Surface가 Windows 10 기반으로 동작하고 .NET 버전이 4.6 이상이면 정상적으로 동작할것 같습니다. ( 제가 직접 테스트는 해보지 못했습니다)
UiPath 개발 및 실행환경은 Windows 기반입니다. 따라서 Windows 기반 OS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Mac을 사용하시는 경우 가상화툴을 이용해서 Windows를 설치하시고 개발 하실 수는 있습니다.
녹화 및 마우스 선택 같은 내용이 이미지 기반이 아니라 객체 인식 기반으로 동작하는 경우 해상도 및 윈도우 버전에 큰 영향을 받지는 않습니다. 만약 개발 환경이 FullHD 인데, 로봇이 실행환경이 VGA인 경우라면 화면이 작아지면 전체 정보가 출력되지 않는 경우에서는 일부 기능이 정상적으로 동작하지 않을수는 있습니다.
현재 공식적으로 지원하는 운영체제 환경은 Windows 7 및 Windows 10 입니다. 이 환경에서 개발된 자동화 프로세스는 오케스트레이터를 통해서 로봇이 설치된 PC로 자동화 프로세스( workflow파일들의 묶음)가 실행됩니다.
안녕하세요
3번에서 만약 엑셀 이라면 굳이 UI로 출력하지 않도고 Excel Activity를 이용해서 데이터를 읽어보고 필요한 Cell에 데이터를 기록할수도 있습니다. 따라서 해상도 영향을 전혀 안 받는다고 보시면 됩니다.
해상도 영상을 받는 경우는 UI가 반드시 있어야 하는 어플리케이션으로 이해하시면 됩니다.
해상도가 변경될때, 요즘 반응형웹으로 개발된 경우 해상도에 따라 문서의 DOM 구조가 변경될수도 있습니다. 이 경우에는 해상도 영향을 받을수 있습니다. 이것도 DOM 구조에서 unique한 id를 기반으로 했다면 문제가 없겠지만, css 기반으로 했다면 해상도에 따라 css가 변경되기 때문에 기대했던 동작이 아닌 현상이 발생할수 있습니다.
해상도 변경은 실제 해상도 값, 애플리케이션 종류에 따라 다양하기 때문에 일반적인 의견만 드릴수 있습니다.
노트북이 변경되었고, Chrome으로 작성했다면 새로운 노트북에도 Chrome Extension이 설치되어 있는지 체크 부탁드립니다.
프로세스가 실행하는데 필요한 SW나 의존관계가 제대로 구성되어 있다면 정상적으로 동작할 것입니다.
구체적인 오류를 알려주시면 도움이 될것 같습니다.
안녕하세요 VDI 관련하여 검색하다 질문 드립니다.
현재 VDI 접속 후 화면에서 작업은 정상적으로 하는데 VDI의 접속을 끊고 오케스트레이터에서 스케줄을 주어 작업을 하면 해상도가 변경되어 Selector를 잡지 못 하고 오류가 발생합니다.
오케스트레이터의 로봇에 해상도 고정값을 줘서 테스트를 진행해보았고, Uipath.settings 파일에도 값을 줘서 진행을 해봤는데 소용이 없습니다
혹시 이런 경우 어떻게 해야 할까요?
로봇(Unattended) 고정값은 다음과 같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