로봇 관련 문의 드립니다

로봇관련하여 여러가지 문의사항이 있어서 글을 남깁니다.^^

  1. 실제 라이센스 구매 시 1대의 PC에 여러 로봇이 들어갈수 있나요?
    ex) attended, unattended, Development 등등 하나 PC에 여러 로봇이 설치가능한지 문의드립니다.

  2. Attended와 Unattended는 어떻게 다른가요??
    Attended로봇 설명을 보니 로컬PC 환경에서만 실행한다고(오케스트레이터 실행 불가) 돼있습니다.
    그렇다면 Unattended는 스케줄 기능 뿐만 아니라 직접수행(Job항목)도 가능한가요?
    기능상의 차이가 아닌, 상위호환의 개념으로 이해하면 되는것인지 문의드립니다.

  3. Nonproduction과 Development 로봇은 어떻게 다른가요?
    개발용 Develpopment로봇이 존재하는데도 Nonproduction로봇이 따로 존재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테스트 관련 하여 필요가 있다면 어떤점에서 차이가 있는지 설명 부탁드립니다.

  4. Floating 로봇은 무엇인가요?
    오케스트레이터 로봇관리항목에 Floating 로봇이 존재하는데, 찾아보니 ID나 이메일을
    입력받아서 머신등록 없이 Attended나 Development 로봇을 사용할수 있다고 나오는데요.
    기존에 Machine을 연결을 한상태(2대 리밋)에서 추가로 등록이 가능한것인지 혹은 별도로
    구성되는지 따로 라이센스가 존재하는지 등을 문의드립니다.

  5. Allocate dynamically 실행 시 로봇 배정은 랜덤인가요?
    해당 프로세스 그룹에 로봇1,로봇2,로봇3 이 있다면 어느 로봇이 수행될지는 랜덤인가요?
    로봇1,로봇3이 현재(혹은 스케줄시간에)다른 작업을 수행중이면 바로 로봇2에서 수행이되는
    원리인지요??

답변을 부탁드립니다. 감사합니다^^.

  1. 계정별로 로봇을 구성하실수 있으며, 라이선스를 설정하실수 있습니다. 다만, Windows Desktop( 7, 10)의 경우 실제 Active Session 1개여서 이렇게 구성하실 필요는 없어 보이구요, Windows Server의 경우 Terminal Service 라이선스가 개수 만큼 동시 사용자를 제공하니 그렇게 구성하실수는 있습니다.

  2. Unattended Robot의 경우 직접 수행도 가능합니다. Unattended는 Attended의 기능을 전부 포함하고 있다고 보시면 됩니다. SW는 동일하며 등록되는 라이선스 차이만 있습니다. 이게 결국 라이선스 가격의 차이로 연결됩니다.

  3. Development License는 Studio를 의미합니다. NonProduction은 말 그대로 운영환경에 사용하지 않는 테스트용 Robot으로 보시면 됩니다. 최근에 라이선스 정책이 변경되어 NonProduction도 가격이 별도로 책정되었습니다.

  4. Floating Robot은 Attended와 Development에만 적용되는 항목으로 Standard와 달리 Robot을 생성할때 Machine 이름이 결정되지 않은 Robot을 의미합니다. 간혹 Non-Persistent VDI 환경( 내가 작업한 내용이 기록되지 않고 Logout 하면 사라지는 VDI 환경)에서 사용자가 Robot Tray를 열때 자동으로 라이센서를 획득하는 것으로 보시면 됩니다. 이러한 Floating Robot을 사용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Active Directory 를 사용해서 로그인 하는 환경이여야 합니다.

  5. allocate dynamically를 지정시 해당 Environment에 가용한 로봇에 해당 프로세스를 할당하게 됩니다. 정확한 스케쥴링은 저도 모르지만, Available한 Robot에 대해서 요청하는 숫자만큼의 프로세스를 할당하게 되며, 해당 숫자가 가용한 Robot 숫자보다 크다면 나머지는 pending 상태로 남게 됩니다.

This topic was automatically closed 3 days after the last reply. New replies are no longer allow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