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rchestrator를 통한 로봇 트리거시 세션 문제

VM 환경으로 로봇 머신을 세팅하여 테스트 중입니다.
오케스트레이터에서 로봇 트리거 시 잠금상태의 머신의 잠금을 해제하고 로봇을 구동한 뒤
로봇 구동이 끝나면 다시 잠금상태로 돌아가는 기능이 오케스트레이터에 있는 걸로 알고 있는데
해당 기능을 쓰려면 정확히 어떤 옵션을 세팅 해줘야 하나요?
그리고 요구되는 환경적인 요소가 있을까요?

현재 테스트 한 결과로는 Login To Console을 끄나, 켜나, 로봇이 트리거 될 때
세션 로그인을 하지 않고 잠금상태에서 작업이 진행되고
백그라운드 구동이 가능 한 엑티비티들은 문제없이 실행 되다가
화면 인터렉션을 해야 할 때 화면과 인터렉션을 하지 못하니 여기서 에러가 납니다.

그래서 구글링을 하여 아래 bat 파일을 찾았습니다.

for /f %%i in (‘qwinsta ^| findstr /C:“>rdp-tcp#”’) do set RDP_SESSION=%%i
set RDP_SESSION=%RDP_SESSION:>=%
“%windir%\system32\tscon.exe” %RDP_SESSION% /dest:console

위 배치파일을 사용하면서 RDP를 종료하고 나오면 잠금이 되지 않은 채 RDP를 빠져나오게 됩니다.
그래서 로봇이 구동 될 때 원활히 화면 인터렉션도 하고 하지만…
완벽한 해결책이 아닌것 같고, 무엇보다 위 배치의 명령어는 관리자 권한을 요구하여
환경 특성상 관리자 권한을 항상 가질 수 없는 환경이라 운영에 어려움이 있습니다.

VM 환경에서 이런 이슈는 어떻게 해결하면 좋을까요…?
분명 방법이 있는것 같은데 제가 못찾는거 같기도 하구요…

로봇 세팅시 관련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로봇과 오스케이터 연동을 어떻게 하나요 - Ask in Your Language / Korea RPA 개발자를 위한 공간 - UiPath Community Forum

Timeout 관련 오류는 아래 링크 참고하세요.
Timeout Reached 오류 해결 경험 공유 - Ask in Your Language / Korea RPA 개발자를 위한 공간 - UiPath Community Forum

답변 감사합니다!

근데 사실 제가 위에 질문을 드린 내용은 여전히 별개의 내용인 것 같습니다…
Timeout 오류는 장시간 PC가 사용이 안될 때 잠금이 된 후 발생하는 문제이고…

제가 질문을 올렸던 내용은, RDP로 로봇에 접속 후 원격접속을 끊고 나오면 해당 PC는 Lock 상태가 됩니다. 그리고 정상적인 오케스트레이터라면 로봇이 트리거 될 때 입력된 계정정보로 Lock을 해제하고 로그온 해서 작업을 수행하고 다시 Lock을 걸도록 되어있죠…

이 시나리오에서 제 문제는, 로봇이 Lock 해제를 못하고 그냥 Lock이 걸린채로 로봇을 구동합니다.
당연히 화면 세션이 없으니 화면 인터렉션이 필요한 엑티비티를 수행하는 곳에서 에러가 납니다…

제가 필요한 세팅은 로봇이 트리거된 작업 수행 전 Lock을 해제하고 로그온을 하는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