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orting Documents to Orchestrator Queue in Abbyy FlexiCapture Distributed

Abbyy FlexiCapture Distributed에서는 문서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다양한 방법으로 export 할 수 있습니다. 데이터베이스에 입력할 수도 있고, 이미지 파일로 저장할 수도 있으며,

image

텍스트/엑셀/CSV/XML/DBF 등의 데이터 파일 형태로 저장할 수도 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문서에서 추출한 데이터를 오케스트레이터 큐에 저장하는 방법에 대하여 설명합니다.

큐에 저장하려면 Abbyy 커넥터가 필요합니다. UiGo! 마켓플레이스에서 Abbyy가 제공하는 FlexiCapture 커넥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v12.0.0.117이 최신 버전이고 이 버전을 기준으로 설명하겠습니다.

https://go.uipath.com/component/abbyy-flexicapture-connector-for-uipath-31cc20

오케스트레이터 큐에 저장하려면 스크립트를 이용해야 하는데, 아래와 같이 먼저 .NET Reference를 추가해주어야 합니다. 추가할 다섯 개의 DLL은 Abbyy가 제공하는 커넥터에 포함되어 있습니다. Document Definition Editor 윈도우에서 해당 메뉴의 위치는 “Document Definition → Document Definition Properties… → .NET References → Add” 입니다.

image

DLL을 추가한 후 "적용(Apply)"하고 메뉴를 닫아주어야만 다음 단계에서 추가할 스크립트를 올바로 인식할 수 있으니 주의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에는 스크립트를 추가할 차례입니다. Export Settings 메뉴에서 Add 버튼을 눌러서 Export Destination을 하나 추가합니다. 메뉴의 위치는 “Document Definition → Export Settings… → Add…” 입니다.

“Custom export (script)” 타입을 선택하고 Next 버튼을 클릭합니다.

“Edit Script…” 버튼을 클릭하여 스크립트를 적어줍니다.

스크립트 역시 Abbyy 커넥터에서 템플릿을 제공합니다. 사용할 오케스트레이터 환경에 맞추어 아래의 값들을 스크립트에 설정해주어야 합니다.

  • 오케스트레이터 URL
  • 테넌트 이름
  • Organization Unit 이름
  • 큐 이름
  • 오케스트레이터 계정 (Username & Password)
  • 인증 유형 (Authentication Type) : Basic or OAuth2

이 스크립트에서 사용할 오케스트레이터 계정은 Abbyy 전용으로 생성하고, 오케스트레이터 큐에 트랜젝션 아이템을 추가할 수 있는 권한만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이제 실제로 추출할 데이터가 무엇인지 스크립트에 기술할 차례입니다. FlexiLayout Studio에서 정의한 문서의 구조가 아래와 같을 때

image

추출할 데이터는 아래와 같이 기술할 수 있습니다. 각 매핑의 왼쪽 이름은 위 그림의 Document Structure와 일치해야 하고, 오른쪽 이름은 임의로 정할 수 있습니다. 오른쪽에 정의한 이름으로 오케스트레이터 큐에 export 됩니다.

새로 생성할 Export Destination에 적절한 이름을 부여하고 “Finish” 버튼을 눌러 다음 단계로 이동합니다.

Export Destinations에 추가된 것을 확인한 후 Document Definition Editor를 닫아줍니다. Document Definition에 변경 사항이 생긴 상태이니까 “Publish” 버튼을 클릭하여 이것을 Abbyy 서버에 반영해줍니다. 서버에 문제없이 반영되었다면 “Edited by” 칼럼에 아무 것도 없어야 정상입니다.

이제부터 Abbyy 서버가 문서를 처리하고 나면, 정상적인 문서인 경우, 추출한 데이터가 오케스트레이터 큐에 추가됩니다.